2024. 5. 16. 22:00ㆍProgramming/기술 정리
배포란? (Deployment)
: 다른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시 locolhost란 주소를 통해 로컬에서 작업을하고, 테스트도 한다. 그러나 이는 다른 컴퓨터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주소이다.
따라서 IP나 도메인등과 같이 고유의 주소를 부여하고, 다른 컴퓨터에서 그 주소로 해당 서비스로 접근 할수 있게 된다.
EC2란? (Elastic Compute Cloud)
: 컴퓨터를 빌려서 원격으로 접속해 사용하는 서비스
서버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컴퓨터가 필요하다. 내가 가진 컴퓨터엥서 서버를 배포해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접근하게 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내 컴퓨터로 서버를 배포하면 24시간 동안 해당 컴퓨터를 켜놔야 한다. 또한 보안상 취약할 수도 있다.
따라서 AWS EC2라는 컴퓨터를 빌려서 사용한다. 이 외에도 AWS EC2는 여러 부가기능들(로깅, 오토스케일링, 로드밸런싱 등)을 많이 가지고 있다.
Region이란?
: EC2의 빌려쓸수 있는 컴퓨터들이 물리적으로 위치한 곳은 Region이라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사용자의 위치와 애플케이션의 위치가 물리적으로 멀게 되면 통신 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주된 실제 사용자들의 위치와 가까운 곳은 Region으로 선택해야한다.
(ex: 개발자는 미국에 있고, 사용 타켓층이 서울이라면 Region은 서울로 선택해야 함)
인스턴스란?
: EC2에서 빌리는 컴퓨터 한대를 의미
키 페어(로그인)이란?
: EC2 컴퓨터에 보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밀번호
보안그룹(Security Group)이란?
: AWS 클라우드에서의 네트워크 보안을 의미한다.
인바운드 트래픽(외부에서 EC2 인스턴스로 보내는 트래픽)과 아웃바운드 트래픽(즉, EC2 인스턴스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에서 어떤 트래픽만 허용할지 설정할 수 있다.
IP란
: 네트워크 상에서의 특정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
Port란
: 한 컴퓨터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특정 프로그램의 주소
22번 - SSH
80번 - HTTP
443 - HTTPS
탄력적 IP 란?
: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임시 IP를 할당받는다. 따라서 EC2 인스턴스를 잠깐 중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켜보면 IP가 바뀌어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고정 IP를 설정해준다.
Route 53 란?
: 도메인을 발급하고 관리해주는 서비스 . 즉 DNS 서비스이다. 이와 비슷한 서비스ㅇ는 가비아, 후이즈 등이 존재한다.
DNS란?
: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 IP주소(특정 컴퓨터의 주)를 사용했는데,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외우기 어려워 문자적인 주소를 가리키게 만들었다.
즉, 문자주소를 컴퓨를 위해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하나의 시스템(서버)이다.
'Programming > 기술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오라클 프로시저 생성/삭제/실행, 프로시저 최적화, 프로시저 원자성 확인 (0) | 2025.01.09 |
---|---|
[Linux] 프로세스 목록 확인, 해당프로세스 확인, 프로세스 kill 하기 (0) | 2023.10.04 |
[Java] 배열에서 원하는 범위의 index 추출하기 (0) | 2023.08.12 |
[JAVA] Long to String, Char to String (feat. StringBuilder) (0) | 2023.07.15 |
[Vue.js] Vue Routing 하기 / Vue routes params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