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B(2)
-
[강의 정리] AWS 입문 강의 정리 - 기본 용어 정리2
ELB란?: Elastic Load Balancer의 약자로, 트래픽의 부하를 적절하게 분배해주는 장치이다. 즉, 로드 밸런서인것이다. 서버를 2대 이상 가용할 때 ELB를 필수적으로 도입하게 된다. SSL/TLS란?: HTTP를 HTTPS로 바꿔주는 인증서이다. ELS는 해당 기능을 지원한다. HTTPS를 적용해야하는이유1. 보안적인 이유: 데이터를 서버와 주고 받을 때 암호화를 시켜서 통신을 한다.만약 HTTP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브라우저에서는 보안적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메세지를 띄운다. 따라서 백엔드 서버와 통신할때도 IP 주소로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HTTPS 인증을 받은 도메인 주소를 통해 통신한다. ELB 상태 검사 설정: 실제 ELB로 들어온 요청을 대상 그룹에 있는 여러 E..
2024.06.04 -
[강의 정리] AWS ELB 설정 방법
*** AWS ELB 설정 방법1.EC2 > 로드밸런서 선택: 해당 페이지에서 로드 밸런서 생성을 클릭한다. 2. 원하는 로드밸런서 유형 클릭: 해당 기본 유형에서는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선택한다. 3.로드밸런서 이름, 체계(인터넷 경계), IP주소 유형(IPv4 선택): 주소유형에는 IPv4와 듀얼스택이라는 옵션이 있다. IPv6를 사용하는 EC2 인스턴스가 없다면 기본적으로 IPv4를 선택한다. 4.네트워크 매핑(로드밸런서가 어떤 가용영역으로만 트래픽을 보낼껀지 제한하는 역할): 가용영역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라면, 모든 체크박스를 선택한다. 5.새창을 킨 후, EC2 > 보안그룹 > 보안그룹을 생성한다.: 이름을 관련-elb-sercurity-gruop과 같은 명칭..
2024.06.04